글 작성시, 아이핀 인증(G-PIN)을 하셔야 등록이 됩니다.
유엔참전국 주한 무관단에 '감사합니다'('25.4.8.)
- 작성자정도준
- 조회수14
- 등록일2025.04.09
□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4월 8일 화요일, ‘주한 무관단 초청행사’를 열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올해 ‘6·25전쟁 75주년’을 기념하여 전쟁 당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참전했던 유엔군 병력·의료지원국의 주한 무관단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국유단은 무관단에게 6·25전쟁에서 지원해 준 것에 감사를 전하면서 유엔군 전사·실종자 현황 및 유해발굴을 위한 국유단의 노력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신속한 신원확인을 위한 유가족 시료 확보 등 향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22개 지원국 가운데 우리나라에 무관을 파견한 곳은 16개국입니다. 사전 일정 등으로 불참 의사를 밝힌 국가를 제외하고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등 12개국 3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평소 유해발굴사업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데릭 맥컬리(Derek Macaulay) 유엔사령부 부사령관(캐나다 육군 중장)도 함께 자리해 행사의 의미를 더했습니다. * 참석 국가 : 병력지원국 9개국(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뉴질랜드, 프랑스,필리핀, 튀르키예, 남아공, 콜롬비아), 의료지원국 3개국(인도, 이탈리아, 독일) ◦한편, 국유단이 주한 무관단을 초청해 감사의 행사를 연 것은 지난 2015년(6개국)과 2017년(14개국)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 □ 행사는 ▲현충원 참배 ▲UN군 유해발굴현황 및 참전국 관련 전사(戰史) 설명 ▲신원확인센터 소개 순으로 진행됐습니다. ◦현충원 참배 시 헌화는 참석자 중 최선임자인 데릭 맥컬리 유엔사 부사령관이 했습니다. 무관단은 행사 간 6·25전쟁 중 전사하거나 실종된 유엔군을 찾기 위해 국유단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유단은 다음 달에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과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한·미 공동발굴을 진행합니다. ◦그밖에도 지난 3월부터 충청남도 서산시 고파도에서는 1953년 비행 중 추락하여 실종된 남아프리카공화국 조종사의 유해를 찾는 유해발굴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스테파노 마라(Stefano Marra) 주한 이탈리아대사관 국방무관(육군 대령)은 “현재 번영한 대한민국을 보면, 이탈리아군을 포함한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용맹함이 얼마나 값진 것이었는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들이 남긴 유산을 기리고 역사를 보존하는 국유단의 중요한 역할을 되새기며, 다시는 참혹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레오 스넬(Leo Snel) 주한 네덜란드대사관 국방무관(공군 중령)은 “한국전쟁에서 네덜란드의 반 호이츠(Van Heutsz) 부대가 용감히 싸운 것을 기억하고 있는 대한민국에 감사합니다. 유엔군과 한국군 전사자 모두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우리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이근원 국유단장은 “오늘날의 자유와 평화는 국군과 유엔군 참전용사들의 피와 땀의 결실”이라며, “국경을 초월하여 그들을 가족의 품으로 모시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따라서 유해발굴사업에도 국제협력 필요합니다.”라고 행사의 의의를 밝혔습니다. ※ 6ㆍ25 전사자(호국영웅)에 대한 감사ㆍ보답ㆍ존경의 시작은 '유해발굴'입니다. 유가족 여러분의 유전자(DNA) 시료채취가 호국영웅을 가족의 품으로 모실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1577-5625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