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모를 산야 어딘가에서 우리의 손길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제 3단계 : 중공군 침공 / 재 반격 (1950.11.25 ~ 1951.6.23)

중공군 침공 / 재 반격(1950.11.25 ~ 1951.6.23)
  • 중공군은 항미원조(抗美援朝)라는 명분하에 1950년 압록강을 넘어 북한 지역에 진입
  • 중공군은 작전을 3단계화하여 1차 공세시는 유엔군의 국경진출을 저지, 2차공세로 38도선까지 진출, 3차 공세로 서울을 재점령 후 차후 작전을 준비한다는 목표를 세움
  • 10월 하순에 중공군 제13병단 예하 6개군 18개 사단과 11월 중순 에는 제9병단 예하의 12개 사단이 북한으로 추가 잠입
  • 중공군북한군은 12월하순 38도선 전개 및 1951년 1월 4일 서울을 빼앗기자 한국군과 유엔군이 1월 25일 일제히 반격작전 개시
  • 3월 15일 1·4후퇴 이후 70일 만에 서울 재탈환 및 3월말 38도선 회복 하고 철원-금화로 진격함
  • 중공군의 춘계공세로 구파발-홍천-강릉선까지 진출하자 유엔군은 3차 반격작전으로 5월말 38도선 회복 및 문산-연천-김화-간성 점령

큰지도보기

중공군 개입과 1 ㆍ4후퇴 (1950.10.25 ~ 1951.1.24)

UN군이 평양, 함흥 입성을 눈앞에 두고 있던 무렵이 1950년 10월 19일 경부터 중공군은 은밀하게 압록강을 넘어오기 시작했다. 중공군 제4야전군은 서부지역에서 1950년 10월 25일 회천지역의 국군에 대해 공격을 실시하였고, 제3야전군은 동부지역에서 사상 유례없는 인해전술로 UN군을 공격해왔다. 이에 UN군은 12월 4일에는 평양을 내주고, 12월 14일에는 흥남철수작전을 전개하였으며, 12월 31일 38도선을 경유, 1951년 1월 4일에는 다시 서울을 포기, 전략적 후퇴를 해야만했다.

압록강 얼음위를 걸으면서 북한지역으로 이동하는 중공군 (1950.10.14)

압록강 얼음위를 걸으면서 북한지역으로 이동하는 중공군 (1950.10.14)

장진호 전투에서 중공군에 의해 철수하면서 쉬고 있는 미 해병 제1사단 (1950. 11.29)

장진호 전투에서 중공군에 의해 철수하면서 쉬고 있는 미 해병 제1사단 (1950. 11.29)

중공군과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하고 즐거워하는 모습 (서울 중앙청)

중공군과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하고 즐거워하는 모습 (서울 중앙청)

재반격 및 서울 재탈환 (1951.1.25 ~ 1951.6.23)

중공군의 개입으로 철수하던 아군은 1951년 1월 오산-제천-삼척을 연결하는 선에서 새로운 방어선을 형성하고, 1월 25일 대반격을 개시하여 서부전선의 미 제1군단은 2월 10일 인천-김포를 거쳐 예하의 국군 제1사단이 3월 15일 수도 서울을 입성하였다. 중부전선의 미 제9군단은 3월 15일 홍천을, 동부전선의 국군 제1군단은 3월 27일 양양으로 진출하였으며, 3월말에는 현재의 휴전선을 형성하여, 한 치의 땅이라도 더 차지하고자 치열한 고지쟁탈전을 전개하였다.

북으로 공격하기 위해 도하지점에서 대기하고 있는 군용차량(1951.3월)

북으로 공격하기 위해 도하지점에서 대기하고 있는 군용차량(1951.3월)

한강 넘어 서울방향으로 포사격을 하고 있는 유엔군(1951. 4월)

한강 넘어 서울방향으로 포사격을 하고 있는 유엔군
(1951. 4월)

하단배경영역